19세기 산업혁명이 유럽 전역을 강타하며 경제가 급속도로 발달하고 있었다. 그러다보니 자본주의 문제도 속속 나타나기 시작했다. 19세 중반에는 불황이 주기적으로 찾아왔다. 1873년 공황은 유럽을 휩쓸었다. 마르크스(1818-1883)의 생존 중 여러 차례 공황이 발생했고 거의 10년 주기로 발생했다. 그렇다면 공황이란 무엇일까? 일단 공황이 발생하면 사회적 수요의 급격한 수축으로 인해 생산의 축소, 물가의 급락, 실업의 증대가 잇따르고 경제 전체가 순식간에 과잉생산 상태에 빠진다. 더 쉽게 이야기하면, 호황기에는 많은 사람들이 물건을 사길 원하고, 공장에서는 물건들을 대량 생산한다. 하지만 사려는 사람이 많으면 물건 값은 당연히 올라가게 될 것이다. 이것이 바로 수요가 증가하면 생산이 증가하게되고, 이..